새시대국민뉴스는 언론계에 종사했던 기자들과 새시대국민연합 회원이 만드는 인터넷신문.
기사 메일전송
향후 1년간 집값 `오를 것` 42%, 상승론 우위로 전환
  • 장지연 기자
  • 등록 2024-07-12 15:32:36

기사수정
  • 향후 1년간 전월세 등 주택 임대료 `오를 것` 56%, `내릴 것` 9%, `변화 없을 것` 25%
  • 부동산 정책 평가: `잘하고 있다` 17%, `잘못하고 있다` 55%

향후 1년 동안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전망하는 국민들이 내릴 것으로 전망하는 국민보다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5%는 정부가 부동산 정책을 잘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향후 1년 동안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전망하는 국민들이 내릴 것으로 전망하는 국민보다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갤럽이 2024년 7월 9~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에게 향후 1년간 집값 전망을 물은 결과 42%가 `오를 것`이라고 답했다. `내릴 것` 23%, `변화 없을 것` 26%, 의견 유보 10%다. 올 초 하락론 우위에서 반 년 만에 상승론 우위로 전환했다. 이는 2022년 대선 직후와 비슷한 수준이다.

2020년 여름부터 60% 안팎으로 고공 행진하던 집값 상승론은 2022년 3월 대통령선거 직후 급감, 한동안 하락론이 70%에 육박했으나 그해 가을 기류가 달라졌다.

 

현 정부 출범 후 부동산 관련 규제가 대폭 완화됐고, 이듬해인 2023년에는 다시 집값 상승론이 늘었다. 그러다 지난 가을 가계부채 규모가 급증하고 연체율이 상승하자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판매를 중단하는 등 대출 규제를 다시 강화했다.

 

그 여파로 달아오르던 주택 시장 열기가 올 초 잠깐 식은 듯 보였으나, 다주택자 중과세 폐지, 30년 이상 노후주택 안전진단 면제 등 부양책, 스트레스 DSR 시행 연기 등이 맞물려 불안정성이 증폭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2022년 가파르게 상승한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2023년 1월 이후 3.5%에서 멈춰있다.

2017년 6.9 부동산 대책을 필두로 관련 대책 발표 때마다 주요 관심 지역 집값은 일시적 침체 후 폭등·과열 현상이 반복됐다. 그러한 양상은 집값 전망 조사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어, 2018년 9월 집값 상승 전망 50%, 2019년 12월 55%, 2020년 7월 초 61%로 매년 높아졌고 이후 2021년 9월까지 정부가 어떤 대책을 발표하건 등락하지 않았다. 문재인 정부 시절 집값 상승 전망이 가장 낮았던 시기는 2019년 3월(20%)이다.

향후 1년간 집값 등락 전망

향후 1년간 전월세 등 주택 임대료 `오를 것` 56%, `내릴 것` 9%, `변화 없을 것` 25%

향후 1년간 전월세 등 주택 임대료에 대해서는 56%가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고 9%만 `내릴 것`, 25%는 `변화 없을 것`이라고 봤다. 9%는 의견을 유보했다. 선행 질문인 집값보다 주택 임대료 상승 전망이 한층 강하다. 이는 지역 간 수요·공급 불균형, 전세사기 우려로 인한 반전세·월세 가속화 등 영향으로 추정된다.

임대료 상승론은 무주택자가 많은 20·30대에서 강하다(67%; 70대 이상 34%). 비싼 집값에 내 집 마련은 난망하고, 고금리 여건에서 전세보증금 대출이나 월세를 감당해야 하는 주택 임차인의 처지를 반영한 결과라 하겠다. 지난 10여 년간 여러 조사에서 대체로 젊은이들이 더 집값이나 주택 임대료가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동산 정책 평가: `잘하고 있다` 17%, `잘못하고 있다` 55%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는 17%가 `잘하고 있다`, 55%가 `잘못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그 외는 평가를 유보했다. 집값 보합론자보다 상승·하락론자가 더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과거에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이는 부동산 시장에서 변동성보다 안정성이 더 중시됨을 시사한다.

이번 부동산 정책 긍정률은 현 정부 출범 후 최저치다. 올 초까지는 전 정부 후반기보다 긍정적으로 평가됐지만, 이번에는 그렇지 않다. 전 정부 부동산 정책 긍정률 최고치는 출범 초기인 2017년 8월 44%, 최저치는 2021년 9월 6%다(19회 조사 평균 22%). 부정률은 2018년 9월, 2019년 12월, 2020년 7월 등 집값 상승 전망이 급증할 때마다 동반 상승했고 2021년 9월 최고치(79%)에 달했다.

 

부동산 정책 긍정 평가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173명, 자유응답) `집값 안정화`(27%)가 가장 많았고, `전 정부보다 낫다`(11%), `세금 인하`(10%), `집값 하락`(7%), `공급 확대`(4%) 등이 뒤이었다.

 

부동산 정책 부정 평가자는 그 이유로(547명, 자유응답) `집값 상승/높은 집값`(17%), `관심 부족/노력 미흡`(7%), `부자 위한 정책`, `시장 불안정/변동 심함`(이상 5%), `전세사기 대책 부실`(4%), `실효성·효과 없음`, `공급 부족`, `실수요자 위한 정책 부족`, `고금리`, `대출 규제`, `경기 침체`, `지역 간 격차 확대`(이상 3%) 등을 답했다. 부정 평가 이유에서는 집값과 규제 관련 상반된 지적이 혼재한다.

 

이번 조사에서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의 집이 있는 사람(유주택자)은 61%며, 연령별로는 20대 10%, 30대 47%, 40대 65%, 50대 이상에서 80% 내외다. 또한 주관적 생활수준이 중층 이상(60%대; 중하/하층 50%대), 정치 관심도가 높을수록(고관심층 71%; 저관심/무관심층 50% 내외) 유주택자가 많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1.2%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이며,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현대차·기아, LFP 배터리 양극재 신규 제조 공법 개발 협력 현대자동차·기아가 미래 전기차 배터리 경쟁력 확보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차·기아는 현대제철, 에코프로비엠과 함께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양극재 기술 개발 과제에 착수한다고 26일(목) 밝혔다.
  2. 배추 1포기 소매가격 9천963원...정부 16t 중국산 수입 작황이 안 좋아 가격이 폭등한 배추가 금추가 된지 오래다. 2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전날 기준 배추 1포기 소매가격은 9천963원으로, 지난해 9월 평균 가격(5천570원)의 1.8 배로 올랐다.여름에 출하하는 고랭지 배추가 폭염으로 생육이 부진했고 상품성이 저하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고랭지 배추뿐만 아니라 가을배추(김장.
  3. 입맛없는 계절....더 잘 챙겨 먹어야지..
  4. 尹 대통령 '제4차 인구비상대책회' 주재 윤석열 대통령은 26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일, 가정 양립 우수기업 성과 공유"를 주제로 '제4차 인구비상대책회의'를 주재했다.
  5. 우 의장, 여야의정협의체 가동 위해 김건희 특검법 처리 미루자 11일 우원식 국회의장이 “의정 갈등 해소에 집중하기 위해 특검법 처리를 추석 이후로 미루자”고 제안했다우 의장은 국회에서 긴급기자 회견을 갖고 “온전한 여야의정협의체 가동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김건희 특검법 등 본회의에 부의된 3건의 법안을 19일에 처리할 수 있도록 양당이 협의해주길 바란다”고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